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three.js
- 리액트
- 2024년 개발자회고
- 로또 몰카
- 프로젝트
- 똥피하기
- 뇽뇽이
- 리액트네이티브
- extension
- 나락퀴즈
- ReactNative
- cloudfront
- 21일챌린지
- 2024년회고
- 로또 몰래카메라
- 습관앱추천
- Chrome Extension
- 네이버 로또
- 습관
- 프론트 개발자
- react mociking
- React
- react-three-fiber
- 개발자
- 사이드 프로젝트
- 디지몬상테스트
- 토이프로젝트
- 어플
- 66일챌린지
- 프론트엔드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DomainNameSystem (1)
개발 블로그

DNS 는 Domain Name System 의 약자로,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이다. 여기서 말하는 Domain Name 은 흔히 우리가 접속하는 웹사이트의 주소이다. 만약 www.naver.com 을 브라우저에서 입력 하였을 경우, 우리는 아래와 같은 웹사이트를 볼 수 있다. 어떤 과정을 통해서 볼 수 있을까? 우선 저 네이버의 html 파일과, css, js, 이미지 파일 등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콘텐츠들은 모두 네이버의 서버에 있다. 그렇기 때문에 네이버 서버로 부터 해당 파일들을 받는 과정이 필요하다. 그럴려면 네이버의 ip 주소를 알아야 한다. www.naver.com으로 어떻게 네이버의 ip 주소를 알 수 있을까? 바로 DNS 를 이용해서 ip 주소를 얻을 수 있..
웹
2023. 12. 3. 00: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