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react mociking
- ReactNative
- 네이버 로또
- extension
- 뇽뇽이
- Chrome Extension
- 사이드 프로젝트
- 습관
- 디지몬상테스트
- three.js
- 똥피하기
- 로또 몰래카메라
- 리액트
- react-three-fiber
- 2024년회고
- 2024년 개발자회고
- React
- cloudfront
- 나락퀴즈
- 프로젝트
- 습관앱추천
- 프론트 개발자
- 66일챌린지
- 개발자
- 어플
- 21일챌린지
- 로또 몰카
- 프론트엔드
- 토이프로젝트
- 리액트네이티브
- Today
- Total
개발 블로그
정적 웹과 동적 웹 차이점. CSR 은 정적 웹? 본문
정적 웹과 동적 웹의 차이를 정리해보겠다.
정적 웹 ( Static Web )
서버가 이미 만들어진(정적인) html, css, javascript 파일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.
더 자세히 말하면, 서버에는 단순히 html, css, javascript 파일들이 이미 만들어져 있고
서버는 라우터로 요청이 들어오면 그에 맞는 파일을 단순히 제공만 해주는 것이다.
동적 웹 (Dynamic Web )
서버가 직접 html, css, javascript 를 만들어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.
요청이 들어오면 그 때 html, css, javascript 파일을 생성하여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.
SPA 웹은 정적 웹 일까? 동적 웹 일까?
정적 웹이다. 해당 내용에 대해서 구글링을 해보면 많은 블로거분들이 SPA ( React, Vue, Angular 등으로 만들어진 ) 웹이 동적 웹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는데,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. 물론 개발 서버로 페이지를 열면 동적 웹이긴 하나 ( 예를 들어 cra 프로젝트의 경우 npm run start 를 하면 http://localhost:3000 으로 동적으로 웹이 생성된다. ) 실제 SPA 의 배포는 그렇게 진행하지 않는다.
필자는 React 개발자이기 때문에 React 로 설명을 자세히 해보겠다.
React 는 단순히 html, css, javascript 를 간편하게 만들어주는 빌드 라이브러리 이다.
실제 React 로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build 과정이 필요하고 build 를 하고 나면 정적인 html, css, javascript 파일이 생성되게 된다. 이 파일들을 어떠한 스토리지에 올려두고, 서버는 요청이 들어왔을때 해당 파일들을 단순히 제공만 해주는 역할을 하면 된다.
프론트 개발자 입장에서 여담을 하자면 정적 웹으로 만들면 배포가 무료이다... netlify 나 github pages 를 이용해보길 바란다.
아 물론 Next.js 의 경우는 동적 웹이지만 Vercel 에서 무료 배포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. ( 비상업적인 경우에서만.. )
끝! !
'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에서 MVC 패턴과 MPA, SPA, CSR, SSR 에 대하여 (0) | 2023.12.25 |
---|---|
DNS 란? DNS 뜻 쉽게 설명하기 (4) | 2023.12.03 |
CDN (Content Delivery Network) 이란? (0) | 2023.11.30 |
프록시(Proxy) 서버란? Forward Proxy, Reverse Proxy, 로드밸런서 (2) | 2023.11.29 |
동기, 비동기, 블로킹, 논블로킹 가장 명확하고 쉽게 정리해보자 (2) | 2023.11.28 |